블록체인

#4 직렬화

tworiver 2023. 7. 25. 11:30

블록체인에서 직렬화(serialization)는 중요하고 기본적인 개념으로,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고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직렬화된 데이터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거나 영구 저장소에 기록되며, 블록체인의 안전성과 신뢰성에 기여합니다.

블록체인은 분산된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해 운영되며, 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양한 컴퓨터들은 각각 다른 구성과 운영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각각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서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직렬화가 필요합니다.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와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방식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직렬화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일관성 있게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합니다.

 

블록체인에서의 직렬화는 크게 두 가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1. 블록 생성과 트랜잭션 데이터 저장: 블록체인은 블록들로 구성되며, 각 블록은 여러 개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트랜잭션 데이터들은 직렬화된 형태로 블록에 기록됩니다. 직렬화된 데이터를 블록에 저장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들이 해당 블록과 트랜잭션들을 이해하고 동일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네트워크 통신: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여러 노드들이 데이터를 주고받는 P2P(peer-to-peer) 네트워크입니다. 노드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블록 체인의 상태를 공유할 때, 직렬화된 데이터가 사용됩니다. 직렬화된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각 노드는 이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에서 데이터를 직렬화하는 방법은 주로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릅니다:

1.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 중 하나로, 사람과 기계 모두 이해하기 쉬운 텍스트 기반 형식입니다. JSON은 key-value 쌍으로 데이터를 표현하며, 배열과 객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구조화합니다.

2. Protocol Buffers: 구글에서 개발한 바이너리 형식의 직렬화 메커니즘으로, JSON보다 용량이 작고 직렬화/역직렬화 속도가 빠릅니다. 주로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성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3. CBOR (Concise Binary Object Representation): JSON의 바이너리 버전으로, JSON과 유사한 데이터 표현 방식을 사용하지만 효율적인 바이트 단위 직렬화를 제공합니다.

4.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JSON과 유사한 텍스트 기반 형식으로,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구조화하여 표현합니다. 블록체인에서는 JSON보다 덜 사용되지만, 일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직렬화 방법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다양한 플랫폼과 언어로 개발된 클라이언트들 간의 데이터 표현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블록체인의 탈중앙화와 보안성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스크립트  (0) 2023.07.25
#5 트랜잭션  (0) 2023.07.25
#3 타원곡선 암호  (0) 2023.07.25
#2 타원곡선  (0) 2023.07.25
#1 유한체  (0) 2023.07.25